멜로그
home
회고 가이드
home

회고 가이드

왜 회고를 해야 할까?

회고는 단순한 일기와 다릅니다. 일기는 단순히 하루 동안 있었던 일을 기록하는 것이라면, 회고는 한 주를 돌아보고 그 속에서 배움과 성장의 기회를 찾는 과정입니다.

내 경험을 통해 배우기 위해

단순한 사건의 나열이 아니라, 그 안에서 느낀 점과 배운 점을 정리할 때 비로소 성장할 수 있습니다.

무의미하게 지나가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

바쁜 일상 속에서 의미 없이 흘러가는 시간을 줄이고, 나의 경험을 가치 있는 자산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.

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

한 주를 돌아보면서 내가 무엇을 잘했고,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 인식하면, 다음 주의 선택이 더 나아집니다.

자기 이해를 높이기 위해

회고는 내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, 어떤 패턴을 가지고 있는지를 발견하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.

좋은 회고는 어떻게 작성할까?

회고는 WHAT, HOW, WHY 세 가지 요소가 포함될 때 비로소 효과적입니다.
WHAT (무엇을 했는가?) → 이번 주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정리합니다.
HOW (어떻게 했는가?) → 그 일을 어떻게 경험했으며, 어떤 방식으로 해결했는지 설명합니다.
WHY (왜 중요한가?) → 이 경험이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,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고민합니다.

잘못된 회고 예시 (WHAT만 기록)

이번 주에 책을 한 권 읽었다. 운동을 세 번 했다. 유튜브 영상을 찍었다.

좋은 회고 예시 (WHAT + HOW + WHY 포함)

이번 주에 ‘회고의 힘’이라는 책을 읽었다. 처음에는 단순한 기록이라고 생각했지만, 회고가 단순한 기록을 넘어 나를 이해하는 과정이라는 점이 인상적이었다. 특히, 반복적인 패턴을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. 그래서 이번 주부터 매일 짧게라도 기록을 남겨보기로 했다. 이렇게 하면 작은 변화들이 쌓여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 같다.

회고를 도와주는 프레임워크

어떻게 회고해야 할지 막막하다면, 다음 프레임워크를 참고해 보세요.

KPT (Keep-Problem-Try)

Keep (계속할 것): 이번 주에 잘했던 점, 유지하고 싶은 부분
Problem (문제점): 아쉬웠던 점, 개선이 필요한 부분
Try (시도할 것): 다음 주에 새롭게 시도할 방법

START-STOP-CONTINUE

START (시작할 것): 새롭게 시도하고 싶은 것
STOP (멈출 것): 앞으로 줄이거나 그만두고 싶은 것
CONTINUE (계속할 것): 효과가 좋았던 습관이나 행동

감정 기반 회고

이번 주에 가장 기뻤던 순간은?
이번 주에 가장 힘들었던 순간은?
이번 주를 한 단어로 표현한다면?
이번 주를 돌아보며 나 자신에게 하고 싶은 말은?

5 WHYs (5번의 왜)

특정 사건이나 문제를 다룰 때, “왜?”를 5번 반복하며 근본 원인을 찾는 방법
예) 이번 주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→ 왜? → 집중이 안 됐다 → 왜? → 환경이 산만했다 → 왜? → 정리하지 않았다 → 왜? →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지 않았다 → 해결책 찾기

회고 작성 팁

형식에 얽매이지 말 것: 중요한 건 패턴을 발견하고 배움을 얻는 것이에요. 자유롭게 써도 괜찮습니다.
솔직하게 기록할 것: 포장된 글이 아니라, 솔직한 감정을 담아야 나에게 도움이 됩니다.
한 주를 돌아보며 의미를 찾을 것: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, 무엇을 배웠는지,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정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짧아도 괜찮다: 300자 이상이면 충분합니다. 너무 길게 쓰려고 부담 갖지 마세요.
이제 여러분의 한 주를 돌아볼 차례입니다. 이번 주 당신의 경험은 어떤 의미가 있었나요?